LG전자가 오는 27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2 (Mobile World Congress 2012)’ 전시회에서 전략 제품 ‘옵티머스 Vu:(뷰)(Optimus Vu:)’를 전격 공개한다.
‘옵티머스 Vu:(뷰)’는 태블릿의 장점인 5인치 대형 화면과 스마트폰의 편리한 이동을 결합한 신개념 전략 제품으로 크고 시원한 대화면을 통해 ‘보는 즐거움’을 극대화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5인치 IPS 디스플레이에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하는 4:3화면비를 적용한 점이다. 파피루스, 일반 교과서, A4 용지 등에 적용된 4:3화면비는 웹, SNS, 전자책 등 가독성이 중요한 콘텐츠를 가장 편하게 볼 수 있는 황금비율로 알려져 있다.
'옵티머스 Vu:(뷰)’는 LTE폰 가운데 가장 밝은 650니트 밝기의 IPS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야외시인성이 높아져 태양빛 아래서도 또렷하고 정확한 색상의 화면을 즐길 수 있다. 또한 LTE폰 중 초박형 8.5mm 두께와 168g 의 가벼운 무게를 구현해 휴대성을 높였다.
‘옵티머스 Vu:(뷰)’는 제품 상단에 퀵메모키를 탑재해 별도의 메모 애플리케이션 구동없이 어떤 화면에서도 메모가 가능하다. 고무 재질로 만든 러버듐 펜 뿐만 아니라 일반 펜과 손가락으로도 원하는 컨텐츠, 그림 등을 기록할 수 있다.
1.5기가헤르츠(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운영체제를 탑재해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운영체제는 출시 후 3개월내에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능을 지원해 멀티미디어 편의성을 제공한다.
'옵티머스 Vu:(뷰)'는 스마트폰 기능 중에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웹브라우징, SNS, 전자책 등 보는 기능의 즐거움을 극대화하겠다는 의미로 명명됐다.
LG전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추가로 탑재한 로봇청소기 ‘로보킹 듀얼아이’ 신제품 2종을 출시하며 로봇청소기 국내 판매 1위 굳히기에 나섰다.
음성 인식기능을 강화한 '로보킹 듀얼아이'(모델명: VR6175LVMC/VR6178LVMC)는 "로보킹 집중청소", "로보킹 청소시작", "로보킹 충전" 등 20가지 음성명령어를 인식해 주행, 충전, 예약 등 다양한 기능을 말 한 마디에 작동한다. 주행 중에는 박수를 연속 두 번 치면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박수 정지' 기능도 있다.
배터리 사용 시간이 총 100분으로 기존 제품 대비 40% 이상 늘어나 청소 도중 재충전해야 하는 수고를 덜었다. 넘을 수 있는 장애물 높이도 기존 1cm에서 최대 1.5cm까지 늘려 문턱이 높을 경우 거실에서 방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결했다.
또한 로봇청소기 주고객인 주부층을 고려해 음성 안내 목소리를 남성으로 채용한 모델(모델명:VR6178LVMC)도 선보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LG ‘로보킹 듀얼아이’는 천장과 벽면 등을 촬영하는 상부 카메라와 바닥을 촬영하는 하부 카메라 등 2개 카메라와 51개 상황판단 센서로 빠르고 꼼꼼하게 청소한다. 특히 상부 카메라 촬영이 어려운 침대나 소파 밑 어두운 공간까지 하부 카메라를 이용해 청소할 수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 넓고 장애물 적은 공간에 유리한 ‘지그재그’ ▲ 좁고 복잡한 공간을 위한 ‘꼼꼼청소’ ▲ 원하는 곳을 집중 청소하는 ‘집중청소’ 등 세 가지 주행코스를 제공해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청소를 할 수 있다.
5개 초음파 센서로 가구, 벽 등과의 충돌을 미리 피할 수 있으며, 제품 테두리에 범퍼 기능이 필요 없어 매끈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조용한 사무실 수준인 업계 최저 소음 48데시벨(dB)로 야간청소 및 청소 중 TV 시청, 전화 통화도 가능하다. 가격은 799,000원이다.
LG전자 김정태 한국HA마케팅담당은 "음성 인식이라는 신기능을 더해 고객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제품"이라며, "국내 최초 로봇청소기를 선보인 독자적 기술력으로 로봇청소기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가 차주 중 LG 유플러스를 통해 태블릿 ‘옵티머스 패드 LTE(모델명: LG-LU8300)’를 출시한다.
‘옵티머스 패드 LTE’는 태블릿 최초로 8.9인치 ‘True HD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자연에 가까운 색재현율을 구현하고 해상도, 선명도 등이 월등해 LTE 서비스의 핵심인 ‘고해상도’ 콘텐츠를 완벽하게 구현한다. 또한, 태블릿 최고 해상도인 800만 화소 카메라를 장착해 Full-HD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1.5 기가헤르츠(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안드로이드 3.2 허니콤 운영체제를 탑재했고 태블릿 최초로 외장 메모리 슬롯을 지원해 별도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 추가로 32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6,800 밀리암페아(mAh) 대용량 배터리를 제공해 한 번 충전으로 서울에서 시드니까지 가는 비행시간(10시간)동안 연속으로 영화 시청이 가능하다.
‘옵티머스 패드 LTE’는 두께 9.34mm, 무게는 500ml 생수 한 병보다 가벼운 479g으로 초슬림, 초경량을 구현해 휴대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만족시켰다.
이와 함께 손쉽게 사진 및 영상 편집이 가능한 ‘스마트 무비 에디터’, 검색과 동시에 이메일, 메시지, SNS공유가 가능한 ‘웹 듀엣(Web Duet)’, LG 스마트폰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는 ‘OSP(On Screen Phone) 기능’ 등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와 전자기기간의 무선 네트워크 기능 중 하나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능을 지원해 다른 기기간 뛰어난 호환성도 갖췄다.
LG전자 박종석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장은 “LG전자는 세계 최초의LTE 모뎀, 최다 판매 LTE 스마트폰으로 LTE 시장에서 승기를 잡고 있다”며 “초고화질 ‘옵티머스 패드 LTE’를 통해 태블릿 시장에서도 돌풍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가 세계적인 명품 패션브랜드 ‘프라다(PRADA)’와 명품 휴대폰 성공 신화를 재현하기 위해 또 한번 손을 잡았다. LG전자는 24일, 서초 R&D캠퍼스에서 MC(Mobile Communications) 상품기획담당 배원복 부사장, MC해외마케팅담당 이혜웅 전무, 프라다社의 브라이스 보두앵(Brice Baudoin) 아태지역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프라다폰3.0(PRADA phone by LG 3.0)’ 개발을 위한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날 양사가 체결한 독점 파트너십은 ‘프라다폰3.0’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마케팅도 함께 협력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명품 스마트폰 ‘프라다폰3.0’은 2012년 초 출시 예정이다. LG전자와 프라다는 2007년 세계최초 풀터치 휴대폰인 첫 번째 프라다폰을 전세계에 100만대 이상 판매하면서 명품 휴대폰 시대를 열었다. 2008년에는 손목시계 모양의 블루투스 액세서리가 포함된 두 번째 프라다폰을 선보이며 최첨단 기술과 패션이 접목된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
특히, 첫 번째 프라다폰은 혁신적인 기술과 시대를 뛰어넘는 디자인으로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와 중국 상하이현대미술관(MOCA)에 상설 전시되고 있다. LG전자 박종석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장은 “LG전자와 프라다가 장기적인 협업을 통해 이룬 성공은 모바일업계와 패션업계에서 유일무이한 사례”라며 “앞서 선보인 프라다폰 두모델과 같이, 최고의 기능과 디자인으로 프라다폰 고유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다社 파트리치오 베르텔리(Patrizio Bertelli) 회장은 “프라다와 LG전자는 혁신, 타협하지 않는 스타일, 최고의 품질과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을 근간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며 “프라다폰3.0을 통해 명품 스마트폰의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가 고성능과 감각적 디자인을 겸비한 스마트폰 ‘옵티머스 EX’를 26일부터 출시했다.
‘옵티머스 EX(Optimus EX, 모델명: LG-SU880)’는 국내외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세계최초 듀얼코어 스마트폰 ‘옵티머스 2X’의 계보를 잇는 제품으로 SK텔레콤을 통해 첫 판매된다.
제품명은 ‘옵티머스 2X’를 잇는다는 의미와 탁월한(EXcellent) 성능, 특별한(EXclusive) 고급스러움, 흥미로운(Exciting) 엔터테인먼트 환경 등의 의미를 담아 ‘옵티머스 EX’로 명명했다.
‘수퍼칩’이라 불리는 엔비디아(Nvidia)社의 1.2기가헤르츠(GHz) Tegra 2 듀얼코어 프로세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운영체제,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밝은 700니트(nit, 휘도단위)의 ‘IPS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해 LG 스마트폰 최고 성능을 구현한다.
고성능을 기반으로 풀 HD 영상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로 끊김없이 즐길 수 있다.
또, 두께 9.65mm, 무게 127g의 초슬림•초경량을 구현해 휴대성을 강화한 동시에, 절제된 외관에 금속 느낌을 더한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했다.
블루투스 대비 최대 22배 빠른 전송속도를 구현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통해 TV를 비롯한 주변 기기들과 콘텐츠 공유가 간편하다.
LG전자 나영배 MC(Mobile Communications) 한국담당은 “고성능과 절제된 디자인을 모둔 갖춘 ‘옵티머스 EX’를 통해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공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LTE 서비스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1,830밀리암페아(mA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했는데도 불구하고 두께 10.4mm의 얇은 디자인을 갖췄다.
이외에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지원해 지원 기기와 상호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한편, LG전자는 ▲‘07년 세계최초 LTE 상용기술 시연 ▲‘08년 세계최초 4G LTE 칩 개발 ▲‘10년 세계최고 LTE 속도 구현 ▲‘11년 세계최초 4G LTE 음성/영상통화 시연 ▲‘11년 첫 LTE 스마트폰 ‘레볼루션’ 북미출하 등으로 LTE 기술을 선도해 왔다.
최근 미국 투자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LG전자가 전세계 LTE 관련 필수 특허 1,400여건 중 최대인 23%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79억 달러(한화 약 9조원)로 업계 1위로 평가되는 등 LTE 기술력을 입증했다.
LG전자 박종석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장은 “‘옵티머스 LTE’는 초고속 LTE 서비스의 핵심인 고화질 HD영상을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국내 최초의 HD 스마트폰”이라며 “글로벌 LTE 리더십을 바탕으로 최고 성능의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LTE 시대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는 고성능 3D 스마트폰 ‘옵티머스 3D’의 북미향 제품인 ‘LG 스릴(Thrill) 4G’를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인 AT&T를 통해 출시했다. 이번 주부터 AT&T 온/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동시에 판매를 시작했다.
올해 듀얼코어 스마트폰 ‘지투엑스(G2x with Google™ by LG)’, LG 첫 LTE스마트폰 ‘레볼루션(Revolution)’에 이어 3D 스마트폰 ‘스릴’까지 출시해 북미 프리미엄 스마트폰 모델을 더욱 강화했다. 이로써 북미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고성장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LG 스릴 4G’는 TI(Texas Instruments, 텍사스 인스트루먼츠)社의 1 기가헤르츠(GHz) OMAP 4 듀얼코어 프로세서, 듀얼 메모리 및 듀얼 채널까지 적용해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3D로 촬영, 재생, 공유 등이 모두 가능하다. 2개의 500만 화소 렌즈로 3D 동영상과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손떨림 방지 기능 등을 적용해 3D 카메라 수준의 고성능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의 4.3인치 3D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안경을 끼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 확보 및 어지러움 최소화를 통해 현존 3D 휴대폰 중 가장 눈이 편안하다.
또, 2D 동영상/사진을 3D로 변환할 수 있으며, 3D 뎁스(Depth; 3D에서 깊이감의 수준)도 조절 가능하다.
한편, LG전자는 7월 말 인기 록 밴드 ‘제인스 애딕션’의 공연을 활용해 100명의 관람객에게 3D 스마트폰 100대를 제공, 3D로 촬영한 공연 영상을 유튜브 사이트에 공개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LG전자 박종석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장 “3D 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시장인 북미지역에 3D TV에 이어 3D 스마트폰까지 가세했다”며 “탁월한 3D 경험을 내세운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시장을 주도해 가겠다”고 밝혔다.
LG전자가 풀 LED로는 세계최대 크기인 72인치 ‘시네마 3D 스마트 TV’를 출시했다. 극장에서 3D 영화를 보는 웅장한 감동을 이제는 집에서도 느끼는 게 가능해졌다.
LG전자는 대화면과 고품격 디자인을 앞세워 최고의 3D TV를 찾는 프리미엄 고객층을 적극 공략하기로 했다.
특히 LG는 32인치부터 72인치까지 ‘시네마 3D 스마트 TV’ 풀 라인업을 구축한 만큼, 국내 3D TV 시장에서 ‘1등 굳히기’는 보다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72인치 ‘시네마 3D 스마트 TV’는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59㎝, 89㎝로 전 세계에서 판매중인 풀LED 3D TV 가운데 가장 크기 때문에 차원이 다른 입체감을 주게 돼 3D 몰입감은 극대화된다.
이 제품은 깜빡임이 없고, 안경 착용감이 탁월해 눈이 편안한 것은 물론, 최고수준의 화질기술과 디자인으로 기존 1세대 셔터안경 방식의 제품과는 확실한 우위에 있다.
특히 이 제품은 2천여 개의 LED 소자가 화면 후면 전체에 촘촘히 배치되는 풀LED 방식이 적용돼 더 선명하고 밝은 3D입체영상을 구현한다. 화면이 커질수록 화면 구석구석에 빛이 닿기 어려운 엣지방식 보다는 풀LED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또한 컨텐츠에 맞춰 명암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영상제어기술인 ‘로컬 디밍(Local Dimming)’은 업계 최고수준인 1천만대 1의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어 최고의 화질을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전력을 최대 30%까지 대폭 절감해준다.
남녀노소 누구나 스마트 TV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이 제품의 큰 장점이다. 매직모션 리모컨은 화면상의 포인터를 PC 마우스처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무료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는 스카이프, SNS를 즐길 수 있는 소셜 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등 스마트 기능이 강화됐다.
디자인 컨셉 또한 프리미엄 고객에 맞췄다. 리얼메탈 소재를 채택한 프리미엄 디자인으로 고급스러움은 더해졌다.
출하가는 1천 7백만 원. 최상급 프리미엄 제품인 만큼 홈시어터 1세트, 최고급 '시네마 3D' 안경인 알랭 미끌리 안경 2개 그리고 3D 안경 패밀리 팩 2개가 기본 제공된다.
한국HE마케팅팀장 이태권 상무는 “극장에서와 같은 3D 몰입감을 주는 최상급 프리미엄 제품을 지속 출시하고, 이에 걸맞은 프리미엄 마케팅을 통해 3D TV 리더 입지를 확실히 굳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