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최대 화제작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삼성전자의 ’갤럭시SⅡ’가 드디어 출시된다.
삼성전자는 28일 무선사업부장 신종균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Media Day 행사를 갖고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Ⅱ’의 출시를 알렸다.
’갤럭시SⅡ’는 지난해 6월 출시되며 1,400만대 이상이 판매된 텐밀리언 셀러 폰 갤럭시S의 후속작으로, 2월 스페인에서 열린 ’MWC 2011’에서 최초 공개되며 출시 이전부터 지구촌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갤럭시SⅡ’는 △1.2GHz 듀얼코어, HSPA+ 21Mbps(SKT/KT),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디스플레이 △8.9mm 두께 슬림 디자인(SKT/KT) 등이 강점으로 꼽히며, 갤럭시S의 성공 DNA였던 3S(Speed, Screen, Slim)가 진화를 거듭한 모습이다.
ㅁ국내 시작으로 세계 120여개국 140여개 사업자에 공급
삼성전자는 통신사업자를 통해 ’갤럭시SⅡ’를 한국시장에서 처음으로 출시하게 된 것과 국내 이동통신 3사에서 동시에 출시하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국내 출시에 이어, 세계 120여개국 140여개 사업자에 갤럭시SⅡ를 순차적으로 공급해 나갈 계획이다.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신종균 사장은 지난해 갤럭시S 성공에 이어 올해는 갤럭시SⅡ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삼성 스마트폰의 두 번째 전성기를 열어 갈 것이라며 그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신 사장은 또 "삼성전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최적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노력해 왔다’며, "갤럭시SⅡ는 이런 노력의 결정체로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 퍼포먼스·컨텐츠·리더십 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린 혁신적인 제품"이라고 강조했다.
ㅁ갤럭시S의 진화는 계속된다. 더 빠르고, 더 선명하고, 더 얇아진 ’갤럭시S Ⅱ’
갤럭시SⅡ는 갤럭시S의 성공 DNA인 초고속(Speed), 초고화질(Screen), 초슬림(Slim)의 3S를 더욱 진화시킨 삼성전자 휴대폰의 ’또 하나의 혁신’ 이다.
삼성전자 갤럭시SⅡ는 초고속 스마트폰 사용환경은 물론이고, 국내에서 가장 빠른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한다.
현존 가장 빠른 1.2GHz 듀얼 코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구글의 최신 안드로이드 플랫폼 진저브래드를 최적화시켜, 강력한 멀티태스킹, 동영상·사진을 빠르게 로딩, 강력한 3D게임 성능 등 이제껏 경험해 보지 못한 놀라운 속도감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 최초로 일반 3G망 대비 최대 3배 빠른 HSPA+ 21Mbps(SKT/ KT, LGU+는 Rev.B 9.3Mbps) 지원,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인 GHz 듀얼밴드 Wi-Fi 지원, 최대 300Mbps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Wi-Fi Direct 기술 탑재, 최대 24Mbps의 블루투스 3.0+HS 등 초고속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측면에서는 갤럭시S와 비교할 때 크기 색재현력 전력소비 등이 크게 향상된 4.3형 슈퍼아몰레드 플러스도 주목받고 있는데, 갤럭시S 보다 14% 커진 크기에 색을 표현하는 서브 픽셀을 대폭 늘린 화질 개선으로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새로운 소재를 사용해 전력 소모를 줄여 고화질의 사진과 동영상 등을 실감나는 화질로 오랫동안 볼 수 있다.
갤럭시SⅡ는 강력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의 9.9mm 두께보다 1mm가 줄어든 8.9mm(SKT/KT)의 초슬림 두께를 자랑하고, 무게는 갤럭시S와 같은 121g(SKT/KT)으로 휴대성을 극대화 했다.
삼성전자의 차세대 터치위즈 UX 탑재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컨텐츠와 서비스로의 빠른 접근을 가능케 하는 맞춤형 매거진 ’라이브 패널’, 앞뒤로 기울여 밀면 작아지고 당기면 커지는 ’모션UI’, 홈스크린·메뉴 이동간 다이내믹한 화면효과 등 감성적인 사용 편리성 제공한다.
국내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도 시선을 끄는데, 뉴스와 네비게이션 등 국내 특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삼성앱스’,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SNS를 통합 관리하는 ’소셜허브’, 그리고 도서 신문 잡지 등을 편리하고 볼 수 있는 ’리더스 허브’, 화상회의 보안 가상업무 등에 최적화된 기업용 모바일 솔루션 지원 등 특화된 서비스도 다양하다.
이외에도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NFC(SKT/KT), 800만 화소 카메라를 이용한 풀HD(1080P) 영상 촬영·재생, 정밀한 게임 조작이 가능한 자이로 센서, 1650mAh 대용량 배터리, DMB 등 새로운 기능들을 만나 볼 수 있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를 맞아 첨단 기능에 합리적인 가격을 갖춘 스마트폰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실용적 스마트폰 ’갤럭시 네오’(GALAXY Neo, SHW-M220L)를 LG U+를 통해 국내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갤럭시 네오’는 안드로이드 2.2(프로요)와 800MHz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적용해 빠른 데이터 처리 환경과 원활한 멀티태스킹을 제공하며, 와이파이로 빠른 속도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DivX 인증을 받아 별도의 변환작업 없이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고 지상파 DMB를 지원해, 3.5형 WVGA 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특히, 대부분의 보급형 스마트폰과 달리 전면 카메라를 탑재, 영상통화와 셀프카메라 기능을 지원해서 주목된다.
이외에도 300만 화소 카메라, 블루투스 3.0, 최대 32GB 대용량 외장 메모리 슬롯, 1500mAh 배터리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갖췄다. 또한, 삼성전자의 생활 친화형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삼성앱스와 더불어 안드로이드 마켓, 오즈스토어 등 멀티 앱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갤럭시 네오’는 깔끔하고 모던한 느낌의 유선형 디자인을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켰으며, 시크 화이트와 노블 블랙 2가지 컬러로 LG U+를 통해 출시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 네오는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으로, 스마트 라이프를 즐기려는 소비자에게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를 맞아 제품 라인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2∼24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CTIA 2011' 전시회에서 미국 4대 통신 회사 중 하나인 스프린트를 통해 모바일 와이맥스를 탑재한 '넥서스 S 4G(Nexus S 4G)'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넥서스 S 4G'는 뉴욕, LA 등 미국 70여개 지역의 스프린트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를 이용해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
지난해 스프린트를 통해 '갤럭시 S'의 모바일 와이맥스 버전인 '에픽 4G'를 선보인 삼성전자는 이번 '넥서스 S 4G' 출시로 차세대 이동통신 중 하나인 모바일 와이맥스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08년 미국 최초의 4G 서비스인 모바일 와이맥스 상용 서비스를 시작해, 세계의 심장부 뉴욕을 비롯해 미국 동부 지역의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는 1억 2천만명을 커버할 수 있는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다.
특히, 지난 12월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통신 종주국 미국의 기간 네트워크 통신 시장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한 삼성전자는 스프린트의 차세대 네트워크 사업 파트너로서 미국 전역의 3G 서비스 품질 향상과 모바일 와이맥스 등 4G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참여할 예정이다.
'넥서스 S 4G'는 전 세계적으로 1000만대 이상 판매된 '갤럭시 S'의 우수한 하드웨어 성능에 구글의 최신 안드로이드 플랫폼 진저브레드가 최적화된 제품이다.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 뛰어난 화질을 제공할 뿐 아니라, 유리를 입체적으로 가공해 자연스러운 곡면을 지닌 커브드 글래스(Curved Glass) 디자인을 세계 최초로 구현해 차별화된 터치감과 그립감이 특징이다.
또한, 근거리 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해 휴대폰 하나로 모바일 결제, 출입 인식장치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500만 화소 카메라, 자이로스코프 센서, 16GB 내장 메모리, 블루투스 등 다양한 첨단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넥서스 S 4G'는 삼성의 뛰어난 하드웨어 성능과 구글의 최신 안드로이드 플랫폼, 스프린트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최적화된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북미 사업자들과의 긴밀한 협력 하에 다양한 스마트폰을 출시해 북미 시장에서 확고한 1위 위상을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4대 이동통신회사 중 하나인 T-Mobile을 통해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21Mbps를 지원하는 ’갤럭시 S 4G’를 출시한다.
HSPA+ 21Mbps는 1초당 최대 2.6MB의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속도로 700MB 영화를 단 5분만에 받을 수 있는 속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속도는 현재 일반 3G 이동통신망(HSPA) 지원하는 7.2Mbps 속도 대비 약 3배 정도 빠른 속도이며 현존 가장 빠른 3G망 속도인 14.4Mbps보다도 50% 이상 빠른 속도이다.
지난해 9월 메트로 PCS를 통해 세계 최초 LTE 휴대폰 크래프트(SCH-900)을 선보인 삼성전자는 이번에 업계 최초 21Mbps HSPA+폰을 출시하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장 선점에 유리한 유치를 점하게 되었다.
특히, HSPA+ 기술은 3G대비 획기적인 속도 차이로 최근 국제전기통신연합인 ITU에서 "HSPA+ 기술도 4G 기술에 포함될 수 있다" 라고 발표하는 등 4G 기술의 하나로 인정되는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 T-Mobile, AT&T 등 HSPA+ 21Mbps 통신망 지원 사업자들도 현지에서 4G를 내세우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다.
T-Mobile에 따르면 이번 갤럭시S 4G 출시와 함께 ABC News Now, Fox 스포츠 등 미국 인기 프로그램을 HD TV로 볼 수 있는 ’T-Mobile TV’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전 세계적으로 히트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인셉션을 기본 탑재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T-Mobile의 고위 관계자인 앤드류 세라드(Andrew Sherrard)는 "갤럭시 S 4G는 지금껏 볼 수 없었던 네트웍 스피드와 획기적인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이라고 말했다.
("The Galaxy S 4G pushes the envelope by reaping the benefits of our network’s unprecedented speeds and by offering groundbreaking entertainment experiences," said Andrew Sherrard, senior vice president, product management, T-Mobile USA)
안드로이드 OS 2.2(프로요)를 탑재한 ’갤럭시S 4G’는 4인치 슈퍼 아몰레드, 500만 화소 카메라, VGA급 전면카메라, 1GHz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650mAh 대용량 배터리 등을 지원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 갤럭시 S 4G가 북미 시장에서 400만대 이상 팔린 갤럭시S의 돌풍을 이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 사업자들과의 긴밀한 협력하에 다양한 스마트폰을 출시해 세계 최대 통신 시장인 미국에서의 확고한 1위 위상을 지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로 슈퍼 아몰레드와 N-스크린이 결합된 스마트폰을 선보이며, ’보는 휴대폰 시대’를 주도한다. 삼성전자는 영화·드라마·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컨텐츠를 PC-TV-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볼 수 있는 N-스크린 스마트폰 ’갤럭시S hoppin(호핀)’(SHW-M190S)을 출시한다고 24일 밝혔다.
’갤럭시S 호핀’은 △안드로이드 2.2(프로요), △4.0형 슈퍼 아몰레드, △500만 화소 카메라, △지상파 DMB, △고화질 HD동영상 녹화·재생 등 기존 ’갤럭시S’급 하드웨어 사양을 갖췄다. 국내 최초로 N-스크린 서비스 ’hoppin(호핀)’도 제공된다.
’호핀’은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장소·기기에 상관없이 계속 이어서 볼 수 있는 SK텔레콤의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의 정보가 특정 단말기가 아닌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자신이 즐겨 보는 콘텐츠를 회사에서는 PC로, 지하철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집에서는 TV로 끊김 없이 이어 볼 수 있어 앞으로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큰 변화를 불러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N-스크린 서비스 ’호핀’은 PC·TV·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내려 받아 시청하는 다운로드 방식은 물론 실시간으로 보는 스트리밍 방식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갤럭시S hoppin’은 별도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거치대(크래들)를 통해 HDMI 케이블로 TV나 모니터에 연결해 주기만 하면 별도의 변환 장치나 소프트웨어 없이도 스마트폰 속 영상을 TV와 모니터에서 즐길 수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통한 무선 공유도 지원한다.
특히, 휴대폰 디스플레이에 아몰레드(2009년)와 슈퍼 아몰레드(2010년)를 국내 최초로 채용한 삼성전자는 이번 ’갤럭시S hoppin’에서 슈퍼 아몰레드와 N-스크린의 완벽한 결합을 선보이며 ’보는 휴대폰 시대’를 가속화한다.
삼성전자는 텐밀리언셀러폰 ’갤럭시S’, 세계 최초 안드로이드 2.3(진저브레드) 탑재폰 ’넥서스S’에 이어 ’갤럭시S hoppin’을 출시함에 따라, 앞선 스마트폰 기술력을 통해 글로벌 스마트폰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계획이다.
LG전자가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1’ 전시회를 통해 LTE(Long Term Evolution) 스마트폰 ‘LG 레볼루션™(LG Revolution™, 모델명: LG VS910)’을 첫 공개했다.
지난해 말부터 미국 주요 도시 38개와 60개 공항에서 LTE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 최대 이통사인 ‘버라이즌 와이어리스(Verizon Wireless)’와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LG 레볼루션™’은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LTE 단말 모뎀칩 ‘L2000’ 등을 적용, 기존 3세대 이동통신보다 최대 5배 빠른 전송속도를 구현해 이동 중에도 대용량 HD급 영상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WVGA급(480×800) 해상도의 4.3인치 풀터치 LCD, 안드로이드 2.2(프로요) 버전 운영체제(OS), 5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탑재했고 전면에 별도 카메라가 있어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특히,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단자를 내장해 TV나 PC 모니터와 연결하면 대화면에서 HD급 동영상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또,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을 갖춘 TV나 PC와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을 무선으로 상호 공유 및 재생 가능하다.
한편, LG전자는 지난해 10월 AT&T, 12월 버라이즌을 통해 각각 첫 LTE 데이터카드를 출시해 미국 양대 이통사를 우군으로 확보했다. 또, 연말 일본 최대 이통사인 NTT 도코모社에도 최초 공급을 시작하는 등 4세대 이통시장 선점에 성공했다.
LG전자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장 박종석 부사장은 “앞선 LTE 기술력과 이통사들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LTE 데이터카드에 이어 스마트폰 라인업까지 확보했다”며 “LG전자는 올해 전세계적으로 본격 개화되는 LTE 시장에서 선점 이미지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